|
화쟁(和諍) 또는 그 와동(渦動)의 미학 주근옥 편역
차 례 1. 자유시 고찰(T. S. Eliot / 이 창배 역)13 참고자료: 2. 전통과 개인의 재능(T. S. Eliot / 이 창배 역)27 3. 해석의 이단(Cleanth Brooks / 이 경수 역)33 4. 게오르크 루카치: 총체성의 개념(Roy Pascal / 김 대웅 역)45 루카치의 실제 비평에 있어서의 총체성49 월터 스코트(Walter Scott)51 현대의 총체성―카프카54 5. 소설의 역사철학적 제약성과 소설의 의의(G. Lukács / 반 성완 역)61 6. 진짜 루카치는 누구인가? ―게오르크 루카치 비판(구 승회)67 7. 상호 텍스트성(Tzvetan Todorov / 최 현무 역)75 ⑴ 정의75 ⑵ 상호 텍스트성의 부재77 ⑶ 유형학80 8. 내용과 형식(Henri Arvon / 오 병남·이 창환 공역)85 참고자료: 9. 러시아 형식주의의 기본개념들(Victor Erlich / 박 거용 역)105 10. 기술(技術)로서의 예술(Victor Shklovsky / 문학과 사회연구소 역)119 11. 에즈라 파운드의 이미지스트 시학(현 영민)131 참고자료: ⑴ ⑵ 가인에게 드리는 글(마사오카 시키, 正岡子規 / 박 전열·이 한창 역)152 ⑶ ⑷ 12. 사상주의 시론 연구―Ezra Pound를 중심으로(이 세순)191 13. 14. 15. 예이츠와 일본의 노(성 혜경)225 16. 포스트모더니즘이란 무엇인가(권 택영)237 17. 영미 포스트모더니즘 소설과 불확정성의 시학(구 은혜)247 18. ⑴ 후소시학(Cynthia Whitney Hallett / 주 근옥 역)259 ⑵ 미니멀리즘의 기원을 찾아서(Cynthia Whitney Hallett / 주 근옥 역)268 ⑶ 레이몬드 카버와 미니멀리스트의 미학(Cynthia Whitney Hallett / 주 근옥 역)281 ⑷ 유약한 세계(Warren Motte / 주근옥 역)294 ⑸ 자크 쥐웨의 정신(Warren Motte / 주 근옥 역)321 19. 20. 21. 22. 미니멀리즘(포스트모더니즘) 작품선379 반카(Anton Pavlovich Chekhov / 이 성원 역)379 두 친구(Guy de Maupassant / 이 정림 역)383 틈입자(Maurice Maeterlinck / 김 정옥 역)403 자매들(James Joyce / 김 현격 역)415 인디언 캠프(Ernest Hemingway / 김 종운·이 상옥·석 경증 역)421 부탁이니 제발 조용히 해줘(Raymond Carver / 안 종설 역)439 일터에서의 고충(Harold Pinter / 이 후지 역)451 장미밭에서(Doris May Lessing / 서 숙 역)455 챈스의 외출(BEING THERE; Jerzy N. Kosinski / 안 무승 역)463 23. 한국의 미니멀리즘 시선519
|
|